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밀양

    영화 '밀양' 간략한 줄거리 소개

    2007년 개봉하여 작품성을 인정받은 이창동 감독의 작품입니다. 죽은 남편의 고향인 밀양으로 피신하다시피 온 불운한 주인공 이신애(전도연)는 피아노 교습소를 열고 새롭게 그곳에 정착합니다. 하지만 마을 사람들의 텃세를 의식해 재산이 많은 것처럼 행세하면서 종찬(송강호)을 통해 땅을 보러 다니는 등 허세를 부리게 됩니다. 그녀의 그런 거짓된 행동은 결국 사랑하는 아들의 유괴라는 비극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절망에 빠진 신애는 끝내 아들을 잃게 되고 아들의 사망신고를 하고 돌아오는 길에 오한에 떨다가 길가에 걸린 현수막을 보고 교회를 찾아가게 됩니다. 그곳에서 토해내듯 오열을 하는 신애는 종교에 귀의하게 되고 열성적으로 교회 활동에 참여하게 됩니다. 마음의 평화를 찾았다고 주변에 행복을 부르짖던 신애는 시간이 흐르면서 여전히 자신을 속이는 모습일 뿐이었다는 것을 깨닫게 되고 최후의 방법으로 아들을 죽인 유괴범에 대한 용서를 하기로 마음을 먹게 됩니다. 하지만 충격적 이게도 이미 유괴범은 하나님에게 용서를 받았노라고 그녀에게 말합니다. 자신이 용서하기도 전에 편안한 얼굴로 용서받았다는 유괴범의 모습에 그녀는 결국 다시 무너지고 맙니다. 이후 신애는 교회의 집회를 방해하고 노래 '거짓말이야'를 틀고 장로를 유혹하는 등 하늘 위에서 자신을 보고 있다는 신을 바라보며 대들기 시작하고 스스로 자해를 하기에 이릅니다. 입원치료가 끝나고 돌아온 신애는 종찬의 배웅을 받으며 다시 동네로 돌아오고 길어진 머리를 자르러 미용실에 들르게 됩니다. 하지만 그곳에서 다시 유괴범의 딸과 조우하게 된 신애는 머리를 자르다 말고 미용실을 뛰쳐나오게 되고 하늘을 매섭게 노려봅니다. 집으로 돌아온 신애는 스스로 머리를 자르려고 하고, 따라온 종찬은 그녀가 머리를 자를 수 있게 거울을 들어줍니다.

     

    배우 전도연의 빛나는 연기력

    "어떻게 용서를 해요? 용서하고 싶어도 난 할 수가 없어요. 그 인간은 이미 용서를 받았다는데.. 그래서 마음의 평화를 얻었다는데.. 내가 그 인간을 용서하기도 전에 어떻게 하나님이 그 인간을 먼저 용서할 수 있어요?"

     

    '밀양'의 이신애를 연기한 전도연은 이 대사를 완벽한 연기와 함께 처절하게 토해냅니다. 그녀는 불행한 한 여인이 겪은 모진 사건들의 비참한 현실 속에서 자기 방어적인 허영심을 연기하였고, 자신의 거짓된 허영 때문에 아들의 죽음을 맞이하는 비극의 참혹감을 연기하였습니다. 그리고 자신이 살기 위해 찾아간 용서의 자리에서 이미 용서를 받았다는 유괴범의 말을 듣고 미칠듯한 좌절감과 배신감을 연기하였습니다. '밀양'의 영화적 가치는 주연을 맡은 전도연의 이러한 빛나는 연기를 통해 전해지는 감정의 굴곡 속에서 분출됩니다. 배우 전도연의 연기력은 처절한 슬픔, 불행한 여인의 취약성, 거짓된 회복과 미칠듯한 통곡의 감정들 사이를 오가며 내면의 복잡한 갈등을 강렬하고 섬세하게 묘사하였습니다. 그녀가 신애라는 캐릭터에 부여한 깊이 있는 연기력은 관객과 각본의 사이에 놓인 거리감을 좁히고 관객에게 깊은 감정이입을 가능하게 하였습니다. 배우 전도연은 밀양으로 제60회 칸 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을 수상하게 됩니다.

     

    감독의 섬세한 시선과 문학적 깊이감.

    이창동 감독의 영화는 한 편의 문학 작품을 보는 것 같은 느낌을 줍니다. 그의 영화는 삶의 아름다움과 잔인함을 포착하고 문학적인 예술성을 더합니다. 그리고 렌즈를 통해 사실적으로 담담하게 때로는 처절하게 표현합니다. '밀양'에서 이창동 감독은 캐릭터의 감정적 변화를 섬세하게 잡아냅니다. 신애가 느끼는 슬픔과 상실을 보여주고, 정신적 위안을 찾는 과정을 미묘하고 섬세하게 묘사합니다. 인간이 느낄 수 있는 최고의 감정적 아픔에 빠져들게 만듭니다. 항상 한 걸음 뒤에서 신애를 바라보는 종찬의 애틋한 모습에서도 감독의 의도적인 섬세한 거리감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감독은 밀양의 고요한 풍경을 단순한 배경이 아닌 서사를 위한 정서적 지형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시각적 은유의 방법으로도 활용하고 있습니다. 감독의 의도적이고 치밀한 시각, 조명, 프레임의 사용은 영화의 주제와 감정을 깊이 있게 전달합니다. 그의 영화가 문학적 깊이감까지 느껴지는 이유는 이러한 의도적인 표현력에 기인합니다. 그의 영화를 본 관객들은 이창동이 화면에 쓴 문학을 보게 됩니다. 하나의 문학예술을 투영한듯한 그의 작품의 멋에 매료되게 되는 것입니다.

    반응형